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경제

(18) 매크로경제: 지금 중요한 것 (210309)

by 혼밥맨 2021. 3. 9.
반응형

(18) 매크로경제: 지금 중요한 것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수량에 대한 인내심이 거의 없다. 양적 금융의 언어는 아직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두 개 이상의 변수의 공동 이동이라는 상관 개념입니다. 크기는 측정하는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방향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일이 금방 혼란스러워진다. 그래서 왜 신경이 쓰여?

그러나 지난 주 주식시장이 상당히 격랑을 겪고 있는 가운데, 주식과 채권 모두에 좋지 않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상승이라는 시장을 스토킹하는 가장 큰 공포를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할 때이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자세히 설명해줄래요? 채권-형평성 상관관계가 음수에서 양수로 바뀌고 있다.

별로 도움이 안 되는데요.

대신 두 가지 관측을 해 봅시다. 첫 번째는 경기 침체가 닥쳤을 때 채권 가격은 급격히 오르는 경향이 있고 주식 가격은 대개 폭락한다. 회복되는 동안 두 사람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합니다. 사람들이 미래를 두려워할 때 안전자산(국채)에 뛰어들고, 주식도 기피하는 것은 위험 식욕의 문제이다.

두 번째 관찰은 세속적인 것이지 주기적인 것이 아니다: 1980년대 초부터 채권과 주식 가격이 같은 넓은 방향으로 움직였다. 둘 다 물가가 올랐다. 지난 40년 동안 국채 수익률은 세속적으로 하락해 왔다.

잠깐, 어떻게 둘이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지?

좋은 지적이야. 방법은 이렇다. 각 경기 순환에서, 금리는 경기가 회복됨에 따라 상승한다(따라서 채권과 주식은 단기간에 걸쳐 분산된다. 그러나 1981년 이후 각 사업주기에서 최고 금리는 이전 것보다 낮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친 두 가지 모두 매 10년 말에는 수익률이 낮아지고 자본이 늘어납니다. Voila!

후자의 관계는 시장을 걱정시키는 것이다. 1980년대 이후 놀라운 자본 운용에 힘을 실어준 이 지속적인 수익률의 하락의 역전이다.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환경에서 두 자릿수의 수익률로 돌아서는 것은 우리를 1970년대로 되돌려 놓을 수 있다: 훨씬 더 변동성이 큰 주식 시장이며, 실질적으로 누적 이득은 더 적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