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2023년 03월 FOMC 기자회견 Q&A 전문

by 혼밥맨 2023. 3. 23.
반응형

[한투증권 윤소정] 2023년 3월 FOMC 기자회견 Q&A 전문

Q1. 최근 은행 시스템의 스트레스가 얼마나 진정되었다고 자신하는지? 이번 회의에서 금리 동결이 진지하게 고려됐는지?
A. 전체적인 은행 시스템은 안전하고 견고하다. 예금 유출 속도도 지난주에 많이 안정됐다. 또한 은행의 관리감독과 관련해서 철저한 내부 평가를 거치고 있다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
금리 동결이 고려됐던 것은 맞다. 하지만 여전히 인상을 결정했다. 고용과 물가 데이터는 우리가 12월 SEP(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에서 말한 것보다 긴 금리 인상 사이클을 지지했기 때문이다. 지난 2주간의 은행 이벤트로 인한 금융시장 여건 긴축은 경기, 물가 등에 영향을 미치면서 금리 인상과 비슷한 효과를 낳는다. 하지만 그 효과의 정도를 지금 파악하기는 어렵다. 시장은 연준이 물가를 다시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고 그 기대에 부응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25bp 인상은 하되, 포워드 가이던스를 수정했다.

Q2. 12월 성명문에는 금리 가인더스가 Ongoing rate increase 였는데, 3월에는 may/some policy firming으로 수정됨. “policy firming” 이라는 것이 금리 정책을 말하는지? 아니면 다른 수단을 통해서도 긴축을 강화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오늘의 금리 인상이 은행에 더 악영향 주지 않는지?
A. “Policy firming” 은 금리 인상을 말하는 것이 맞다. 나라면 그것보다는 ongoing VS may/some의 워딩 차이에 초점을 맞춰서 생각할 것이다. 만약 은행시스템 사건이 경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긴축을 위해서 금리가 더 인상될 것이다. 반대로 만약 경기에 심각한 영향이 있다면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필요성이 떨어질 것이다. 우리는 은행의 유동성을 위해서는 재할인 창구나 BTFP등을 사용하고 있다. 금리 결정은 전반적인 경제를 고려한 것이다

Q3. 은행 사태 2주 전의 의회 증언에서는 SEP상 최종기준금리 전망치가 더 올라갈 수 있다고 언급. 그런데 오늘의 SEP는 올라가지 않았음. 이 전망이 은행 사태를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은행 사태가 지표에 실제 영향을 미칠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것인지? 그리고 기준금리 인상이 은행에 심각한 충격을 주지 않는 선에서 긴축적인 금융시장 여건을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인지? 금리 인상 말고 그냥 자산 매각 등으로 금융시장 여건 긴축이라는 목표 달성할 생각은 없는지?
A. 대다수의 연준 위원들은 은행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여건 긴축이 금리 인상과 비슷한 영향을 낳을 것으로 분석했고 그걸 SEP에 반영했다. 다만 은행 사태 이전에는 더 강한 물가와 더 강한 고용을 확인했고, 은행 사태와 강한 물가/고용이 서로를 상쇄하면서 결과적으로 12월 FOMC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다른 정책 수단들이 있다는 것은 알지만 금리 정책을 계속해서 사용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인상 과정에서 적절하게 소통해왔고 대부분의 은행들은 금리 인상을 감당할 수 있다

Q4. 재무부, FDIC와 연준은 시그니처 은행과와 SVB의 비보호 예금 보호하기로 결정했음. 단순히 신뢰를 지키기 위한 조치였는지 아니면 그 은행들의 문제가 전반적인 경제나 다른 금융기관으로 전염될 거라고 생각해서 였는지? 관리 감독 내부 감찰에서 파월 의장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
A. 그 두 은행 자체 보다는 전반적인 시스템으로의 전염을 우려한 결정이었다. 그리고 내부 감찰 관련 논의는 부의장 마이클 바 부의장이 이끌고 있다

Q5. 12월에는 디스인플레이션을 9-10차례 언급. 이건 아직도 진행중이라고 생각하는지? 이번 은행 사태로 인해 경제가 둔화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연준이 바라는 바인데 왜 그 부분을 더 언급하지 않는지? 아직 불확실하기 때문인지 아니면 연준의 긴축이 끝났다고 시장이 기대하는 것을 바라지 않기 때문인지?
A. 내가 디스인플레이션 언급한 것은 12차례였고 지금도 진행중이라고 생각한다. 상품 인플레이션은 6개월째 하락하고 있고 주거 인플레이션도 월세가 전체 인플레이션보다 낮은 수준에서 계약되고 있다. 문제는 아직 주거 외 서비스 물가가 내려오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은행 사태는 불확실성의 문제다. 더 긴축적인 대출 조건과 경제 활동과 고용, 물가 사이의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다. 다만 문제는 이 은행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긴축이 얼마나 지속적이고 강할지를 아직 모른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추가 금리 인상을 결정할 때 은행 사태의 실질적인 영향을 고려할 것이다

Q6. 실리콘밸리 은행의 감독에 있어 어떤 문제가 있었기에 이를 놓쳤던 것인지? 향후 연준의 관리 감독이 실제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하는지? 어떻게 미국 시민들이 다른 은행 시스템에 대해 신뢰를 가질 수 있는지?
A. 실리콘 밸리 은행은 매니지먼트가 은행의 유동성 관리, 금리 리스크 관리에 실패한 경우였다. 은행의 예금 베이스가 소수의 예금자에 집중되어 있던 만큼 전례없는 속도의 뱅크런이 발생했다. 다음주에 부의장 마이클 바의 증언이 예정되어 있다. 우리가 관리 감독을 강화할 필요성은 확실히 있다. 은행 관리 감독 관련 연준의 내부 논의 관련해서 내가 의견을 말할 수는 없다. 그리고SVB 사태는 해당 은행의 특징적인 결함에서 기인한 것이며 은행시스템 전체의 문제가 아니다

Q7. 연준은 금리인상 중단한 후에도 상당기간 높은 수준에서 동결할 것으로 소통하고 있는데, 선물시장은 5월 한차례 추가 인상 후 이후 계속해서 인하할 것을 반영중. 그들의 전망이 완전히 틀린 것인지?
A. SEP를 보면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성장과 고용시장의 점차적 수급 밸런스 회복 및 물가의 점진적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만약 이 베이스 시나리오대로 전개된다면 올해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다

Q8. 실리콘 밸리 은행이 특이점이었다는 것은 알지만, 중소형 은행들이 상업적 부동산 시장 대출의 상당분을 실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올해, 내년에 만기도래하는 대출을 롤오버 하는 것과 관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SVB사태처럼 상업적 부동산 시장 대출에 집중된 은행들에서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지 않은지?
A. 상업용 부동산 대출이 중소형 은행에 집중되어 있다는 사실은 인지하고 있지만 SVB 에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전체 은행 시스템은 견고하면 자본이 충분한 상황이다

Q9. 2월 CPI 상당히 하방 경직적. 인플레이션을 목표치까지 낮추는데 재정 측면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지?
A. 우리는 재정정책을 받아들일 뿐 그것을 결정하지는 않는다. 팬데믹 초기에는 fiscal impulse 강했지만 지금은 지원금에 따른 소비 진작 효과가 사라졌고 지금 인플레이션을 유지시키는 것은 재정이 아니다

Q10. 왜 전통적으로 쓰이던 재할인 창구가 아니라 연준법 13-3(긴급대출제도)을 이용해서 BTFP 라를 기구를 신설한 것인지? 왜 FDIC의 위해서 연준이 142bn 달러를 대출해준 것인지?
A. 재할인 창구의 조건을 완화하는 것과 동시에, 13-3이 더 유연하다고 생각해서 해당 조항을 기반으로 BTFP를 신설한 것이다. FDIC에 대한 대출은 FDIC가 인수한 두 은행을 위한 가교은행에 대한 대출이다. 해당 대출은 FDIC가 100% 보증하기 때문에 연준에 전혀 리스크 없다

Q11. SEP는 한번의 추가 인상을 반영하고 있음. 거의 인상사이클이 끝나간다는 소린데, 만약 한번의 추가 인상하고 나서도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높으면 추가 인상을 결정할 것인지?
A. 물가가 여전히 높아서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면 추가 인상할 것이다

Q12. 재할인 창구와 BTFP를 통한 대출이 밸런스 시트를 줄이겠다는 연준의 목표에 위배되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지준금 배분이 은행간 불균등한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일부 은행들이 지준금 부족 사태에 직면한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A. 장기채를 통해 지준금을 늘리는 QE와 은행에 대출을 통해 지준금을 늘리는 재할인창구/BTFP는 매우 다르다. 전자는 장기금리는 낮춰서 정책 스탠스 자체를 완화적으로 바꾼다. 후자는 일시적인 유동성 이슈를 해소하기 위한 일시적인 대응으로 정책 스탠스를 바꾸지는 않는다. 이번 사태에 대한 연준의 대응은 금융시장 여건의 과도하게 가파른 긴축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또한 지준금이 은행 시스템에 부족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생각을 바꿀만한 근거는 아직 없다

Q13. 지난 FOMC 의사록을 보면 보유채권 미실현 손실에 따른 비은행 금융기관의 뱅크런 가능성이 언급되어 있는데 여기에 대해 더 자세하게 말해줄 수 있는지? 왜 그때 이 문제에 대해서 대응하지 않았는지?
A. 최근 너무 많은 일이 있었기 때문에 해당 논의에 대해서 자세하게 기억하지 못한다. 내가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부 은행들의 금리 상승 리스크를 헤지하지 않았기 때문에 막대한 미실현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는 것 자체는 우리에게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다만 최근 일어난 뱅크런은 우리가 과거에 봤던 것과는 달랐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관리 감독 정책 역시 업데이트할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진행하고 있다

Q14. 사실상 FDIC가 보호/비보호 예금을 모두 보증하겠다고 약속한 것인지? 의회가 이것에 반박할 수 있어야 하는 것 아닌지? 그렇게 된다면 자산 1bn 달러 이하의 은행이 파산한다면 또 모두 베일아웃 해줄 것인지?
A. 내가 한 말을 과대해석하지 말아줬으면 한다. 우리는 경제에 막대한 위험이 될 경우 예금자들을 보호할 만한 수단을 연준이 가지고 있으며 수단들을 활용할 준비가 되어있다고 말했을 뿐이다

Q15. 크레딧스위스 인수 소식 전해졌을 때 안심했는지?
A. 그건 스위스의 일이긴 하지만 결국 인수가 성사된 것이 시장에 안도를 준 것 같다

Q16. SEP에서 실업률이 올해 4.5%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는데, 이것이 과도하게 오르는 것을 기준금리라는 둔기를 통해서 어떻게 조절할 수 있는지?
A. 수요가 둔화되고 고용시장이 둔화되면서 나타날 매우 불확실한 결과값이다. 우리는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내려야 하고, 내리지 못하는 경우의 비용이 더 세다. 침체는 비선형적이고 모델링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업률이 snowball 할지 모른다. 우리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낮추는 것이며 장기적으로 이 편이 모두에게 이롭다

Q17. 최근 2주간 있었던 모든 일을 고려했을 때 미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는지?
A. 연착륙 가능성을 도왔다고 보기는 어려우나 아직 실제 영향에 대해서 판단하기 이르다. 이 사태가 얼마나 크게, 오래 지속될지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다만 여전히 연착륙 가능성 있으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좁은 길을 찾아 나가야할 것이다

Q18. 얼마나 많은 금융기관이 matters require intension 이나 matters requiring immediate intention 발급받았는지? 발급받은 은행들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하고 있는지?
A. 모른다. matters requiring immediate intention 매우 심각한 경고고 아마 6개인 것 같다. 마이클 바 부의장이 진행하고 있는 관리 감독 업데이트의 중심에 있는 질문이 그것이다. 다만 내가 아직 대답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다

Q19. 만약 은행 사태가 심화되면서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되고 경기가 둔화되면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를 개시할 수 있는지? 만약 아니라면 어떤 조건이 연준이 금리를 내리게 할지? 그리고 일련의 은행 파산 사태로 QT 중단을 고려하지는 않았는지?
A. 금융시장 여건이 긴축된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강하게 긴축되고 얼마나 갈지이다. 만약 심각하다면 우리의 정책에 반영할 것. 다만 금리 인하는 우리의 베이스 시나리오에 들어있지 않다. QT 중단에 대해서는 논의하지도 않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