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매크로경제

(37) 매크로경제 : 2021 바이든 시대 개막

by 혼밥맨 2021. 4. 14.
반응형

(37) 매크로경제 : 바이든 시대 개막

 

월스트리트 저널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논평가인 그는 "미국이 왜 적자, 인플레이션, 인센티브에 관한 기존의 모든 거시경제 수업을 점점 더 과감하게 위반하고 그것을 회피하고 있는가?"라고 반문하고 있다.

대학 입문반 학생이라면 재정적자가 나쁘고, 자유무역이 좋고, 시장이 가장 잘 알고 있다는 이런 중요한 교훈들을 최소한 흡수했을 것이다. "워싱턴 컨센서스"로 알려진, 일부 재분배와 규제의 자유 시장 기반들의 융합은, 로널드 레이건에서부터 빌 클린턴을 거쳐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에 이르기까지 미국 지도자들의 경제 정책을 폭넓게 묘사했다.

트럼프가 먼저 이런 규약을 머리에 뒤집어썼지만, 그의 생각은 응집력이 있는 새로운 사상학파보다는 기회주의와 포퓰리즘에 더 얽매여 있는 것처럼 보였다. 반면에 바이든 정책은 경제학에서 전통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취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분명한 것은 실업에 대한 견해이다. 낡은 사고방식은 낮은 실업률에서 비롯될 수 있는 과열과 인플레이션을 우려했지만, 새로운 사고방식은 전적으로 그것을 거부한다. 재정과 통화정책은 실업률을 최대한 낮춰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낮은 실업률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이며, 결국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면, 지속적인 실업률보다 사회적으로 비용이 훨씬 덜 들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성장 부양으로서가 아닌 한 때 신중한 거시 경제학자라면 누구나 싫어했던 대규모 적자가 이제는 완전히 수용되었다. 전세계적으로 저금리는 저축이 풍부하고 만성적으로 수요가 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므로 적자는 해롭지 않으며 필요할 수도 있다. 그들은 민간 투자를 밀어내지 않으며 사실상 자유 기업이 하지 않는 기반 시설과 같은 공공 재화를 위한 자금을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돈이 부족하지 않기 때문에, 원조는 보편적일 수 있고, 그래서 아무도 그 틈 사이에서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보살핌과 같은 삶을 가치 있게 하는 많은 것들이 시장 밖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GDP와 유급 노동은 과대 평가되고 있다. 이것이 보편적 기본소득의 근거이며, 어느 정도 바이든의 자녀세액공제 확대입니다.

바이디노믹스는 경제사상의 학교라기보다는 정치운동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새로운 사고가 거시경제 교과서를 대대적으로 다시 쓸 수 있는 설득력 있는 증거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증거는 없다. 더군다나 트럼프 행정부가 처벌받지 않는 모습을 지켜본 뒤 경제에 각인시키려는 민주당 기반에 활력을 불어넣은 증상일 가능성이 높다.

지불해야 할 대가가 있을 거예요, 계산서가 어떻게 나올지 전혀 확신할 수 없어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