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윤석열 탄핵은 도대체 언제될까? 윤석열 탄핵 시나리오 및 탄핵 일정

by 혼밥맨 2025. 3. 31.
반응형

윤석열 탄핵은 도대체 언제될까? 윤석열 탄핵 시나리오 및 탄핵 일정

 

 1.  선고 일정 지연 및 최악의 시나리오 

- 헌법재판소는 원래 3월 중순(3월 20일~21일)에 선고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재판관들의 의견 차이로 인해 결정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
- 현재 선고 일정이 확정되지 않아  4월로 넘어갈 가능성 이 높으며, 최악의 경우  4월 18일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퇴임일까지 결론이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 만약 이날까지 결정이 나오지 않으면 헌재는 재판관 6명만 남아 사실상 기능 정지 상태("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습니다 .

 


 2.  가능한 시나리오 

1.  파면 결정 (4월 초~중순) : 재판관 6명 이상이 인용 의견을 내면 윤 대통령은 파면되고, 60일 이내 조기 대선이 치러집니다 .  
2.  기각 또는 각하 (직무 복귀) : 인용 의견이 5명 이하일 경우 윤 대통령은 즉시 직무에 복귀합니다 .  
3.  4월 18일까지 미결정 (헌재 불능) : 재판관 2명이 퇴임하면서 헌재가 6인 체제로 축소되어 사건 처리 능력을 상실할 수 있습니다 .  

 3.  지연 원인 


- 재판관들의 의견이  5 vs 3  등으로 첨예하게 갈려 있어 합의가 어렵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  
- 결정문 작성 과정에서 검찰 조서와 법정 진술 간 차이로 인한 수정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는 추정도 있습니다 .  
- 정치적 고려나 재판관들의 신중한 접근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  


 4.  주요 변수 

-  마은혁 재판관 후보 임명 문제 : 민주당은 한덕수 총리에게 마은혁 후보 임명을 요구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추가 탄핵 소추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  


-  한덕수 총리 탄핵 기각 판결 (3월 24일) : 이 사건에서 재판관들의 의견이 분열된 점이 윤 대통령 탄핵 판결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5.  역대 사례 비교 

-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변론 종결 후  14일  만에 선고 .  
-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변론 종결 후  11일  만에 선고 .  
- 윤 대통령 탄핵: 변론이 2월 25일 종결된 후 이미  5주 이상  지연 중이며, 이는 전례와 비교해 매우 긴 시간입니다 .  


★ 결론

 

현재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은  4월 초~중순에 결정될 가능성 이 높지만, 재판관들의 의견 차이와 정치적 변수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상황 입니다.

 

최악의 경우 4월 18일까지 결론이 나오지 않아 헌재가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습니다. 향후 전개를 주시해야 할 주요 시점은  4월 10일 (마지막 정기 선고일)  과  4월 18일 (재판관 퇴임일)  입니다 .

반응형

댓글